마을·길·섬
-
마을·길·섬
1/2
-
-
깨끗한 자연을 즐길 수 있는 아기자기하고 정겨운 느낌의 승봉도 아득한 옛날 신씨와 황씨가 함께 고기를 잡던 중 풍랑을 만났다고 한다. 둘은 어떤 섬으로 대피했는데 풍랑이 지나가고 섬 이곳 저곳을 둘러보니 경관도 좋고 산세도 좋아 그냥 이곳에 정착하기로 했다. 그곳이 승봉도다. 당시 신씨와 황씨 두 사람의 성을 따서 ‘신황도’라고 부르다가 이곳의 지형이 마치 하늘을 향해 비상하는 봉황새의 머리 모양과 같다고 하여 ‘승봉도’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200명이 약간 넘는 주민들이 옹기종기 모여 살고 있는 다정한 섬마을, 승봉도는 작지만 아기자기한 매력이 가득한 섬이다. 산등성이를 넘어 산책하다보면 어느덧 해수욕장이 눈앞에 펼쳐지고, 백사장 한켠의 갯바위에 앉아 바닷바람을 쐬다보면 울창한 나무숲이 눈길을 잡아끈다. 승봉도의 숨겨진 매력은 북쪽 해안의 부채바위에서 촛대바위까지 이르는 1시간 반 정도의 산책로 속에 있다. 조용한 해변 산책길을 거닐며 평화롭고 한가로운 기분을 느낄 수 이 있을 것이다. 하얀 백사장이 아름다운 이일레해수욕장도 승봉도에서 빼놓을 수 없는 볼거리다. 승봉도는 섬 특유의 매력을 되살려 현대인들이 생활 속에서 쌓아온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말끔히 날려버릴 수 있는 ‘치유의 섬’으로 거듭나는 중이다. 승봉도 일원에 캠핑장이 마련되고, 연꽃체험공원과 승봉이야기전시관 등 승봉도를 더욱 깊이 즐길 수 있는 시설들이 조성되면서 승봉도를 더 오래오래 머무르고픈 섬으로 만들어나가고 있다. 정보제공옹진군청, 행정안전부
- 조회수9,548
- 공유수0
- 댓글수0
[옹진] 승봉도
-
자연 속에서 즐기는 편안한 휴식과 다양한 볼거리, 덕포진 누리마을 덕포진 누리마을은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신안리 일원에 조성되는 테마마을이다. 마을 고유의 자연환경과 생태, 문화재 등을 활용하여 마을을 찾는 이들에게 다양한 볼거리와 쉴 곳을 제공하고, 자연 속에서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마을 개발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우선 덕포진 누리센터가 조성된다. 2015년 완공 예정으로 풍경카페와 농산물공동판매장이 자리잡을 예정이다. 2014년 완공 예정인 힐링포레스트는 여가를 위한 맞춤 공간이다. 이곳에는 문화쉼터 공원, 캠핑장, 야외 갤러리, 카라반 등이 들어서게 된다. 정보제공행정안전부
- 조회수7,753
- 공유수0
- 댓글수0
[김포] 덕포진 누리마을
-
양구 백토마을, 600년 넘는 역사를 간직한 양구의 백자 문화를 재현하다 양구군은 예로부터 도자기 생산지로 주목받았던 곳이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고려시대부터 20세기에 이르기까지 600년 넘게 백자 생산을 지속했던, 한국 도자기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는 곳이다. 양질의 백토가 매장되어 있어 조선시대에는 왕실 백자 생산을 위한 주요 백토 공급지였다. 양구 백토마을은 양구 지역의 백자 문화를 재현하고, 금강산에서 발원하는 수입천과 두타연 등 접경지역 특유의 깨끗하고 수려한 자연이 연계된 양구군의 또 다른 명소로 발돋움을 준비를 하고 있다. 백토마을에서는 입주 작가들이 예술적 가치가 높은 백자를 생산할 수 있도록 작가동을 건설하고, 전통 방식의 백토 가공 설비인 물방아와 수비 시설을 갖추는 등 양구 백토의 가치를 높이는 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양구 백토를 직접 체험하고 주변의 자연경관과 함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카페도 들어설 예정이다. 주변에 위치한 양구 백자박물관에서도 양구 백토와 관련된 체험을 할 수 있으니 참고하도록 하자. 정보제공행정안전부
- 조회수9,844
- 공유수0
- 댓글수0
[양구] 백토마을
-
고려산 진달래 축제로 유명한 강화군 국정마을, 테마 숲길 조성으로 새롭게 태어나다 고재형의 저서 『심도기행』에 따르면 ‘강화부 서쪽에 국정촌이 이어져 신씨와 한씨가 정착했으며 복숭아, 배, 감이 골짜기에 그윽하여 밭 갈고 책 읽는 삶이 영원토록 변치 않는다’라는 내용으로 국정마을을 소개하고 있다. 고려산 진달래축제로 유명한 강화군 강화읍 국화리 국정마을이 대대적인 환경 개선과 역사문화 스토리텔링 사업을 통해 새로운 테마마을로 탈바꿈한다. 마을 주변으로는 둘레길을 개발하여 진달래길, 매봉산오름길, 나뭇꾼길, 감나무길 등을 조성하고, 마을 사인물을 통합설치하고 상업광고물을 정비하는 등 더욱 깨끗하고 보기 좋은 마을 환경을 만들고 있다. 마을의 테마 식품을 개발하고 농가민박을 지원하는 등 주민들의 소득 증대와 여행객 편의를 위한 환경 조성에도 힘을 쏟고 있다. 정보제공행정안전부
- 조회수6,929
- 공유수1
- 댓글수0
[강화] 국정마을
-
사계절 즐거운 농촌체험이 있는 곳, 임진강 최상류 청정 자연을 간직한 나룻배마을 임진강 최상류에 위치한 연천 나룻배마을은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자연을 유지하고 있는 청정마을이다. 임진강변에서의 물놀이와 나룻배 타기를 비롯해 사계절 다채로운 농촌체험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다. 마을 주변에 태풍전망대, 경순왕릉, 숭의전지, 재인폭포, 전곡리 유적지, 허브 빌리지 등 연천군의 유명 여행지들이 있어 이와 연계한 체험들도 가능하다. 농사체험, 허브 만들기, 인삼 화분 만들기, 트랙터를 타고 가는 민통선 체험, 벼 베기, 땅콩 수확하기, 콩 타작하기, 민통선 철새 탐조 등 다양한 체험들이 여행객들을 기다리고 있다. 정보제공행정안전부, 나룻배마을
- 조회수10,439
- 공유수1
- 댓글수0
[연천] 나룻배마을
-
천연기념물 저어새의 소중한 보금자리, 조용하고 평화로운 섬마을, 볼음도 ‘볼음도’라는 독특한 이름에는 조선 인조 때 장수인 임경업 장군과 얽힌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온다. 어느 날 명나라로 가던 임경업 장군이 풍랑을 피해 이 섬해 들렀을 때 보름달을 봤다고 해서 ‘보름도’라 불리다가 나중에 한자어로 ‘볼음도(乶音島)’가 되었다는 것이다. 보름도는 강화군 서북부 해안에 있는 섬으로 크기는 작지만 농경지가 많아 들판이 넓어 시원한 느낌이 든다. 북쪽 해안의 저수지는 천연기념물인 저어새를 비롯해 수십여 종의 철새가 날아드는 생태계의 보고다. 볼음도에는 저어새 외에도 유명한 은행나무 한 그루가 있다. 수령 800년에 달하는 볼음도의 은행나무는 저어새의 서식지인 저수지 서쪽 끝에 자리잡고 있다. 볼음도에서는 조용하고 평화로운 휴식을 위해 볼음도를 찾는 이들을 위하여 볼음도에 저어새 생태마을 조성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희귀한 저어새를 볼 수 있는 볼음도에 생태탐방로를 조성하고, 사람들이 많이 찾는 은행나무 주변을 정비하는 등 볼음도는 새로운 모습으로 다시 태어나고 있다. 뭍에서 찾아가기는 힘들지만 어느 곳보다 조용한 휴식을 선사하는 곳, 바로 저어새의 고향, 볼음도다. 정보제공강화군청, 행정안전부
- 조회수17,903
- 공유수0
- 댓글수0
[강화] 볼음도
-
드라마 <전원일기> 의 추억이 솔솔 피어나는 양주 삼하리 전원일기마을 삼하리 전원일기 마을은 긴 시간 안방극장을 따뜻한 온기로 채워줬던 드라마 <전원일기>가 촬영되었던 곳이다. <전원일기>의 추억이 남아있는 이 마을은 이제 일상에 지친 도시인들에게 휴식과 치유를 전달하는 향기로운 마을로 거듭나고 있다. 전원일기 피크닉장, 농산물판매장, 산책로와 휴식공간, 전통놀이마당 등이 조성되고 있으며, 이야기상자와 나눔센터 건물에 <전원일기> 출연자들의 모형을 실물 크기로 제작하여 여행객들이 사진을 찍으며 추억을 남길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어갈 예정이다. 향후 산사나무, 산수유, 배롱나무 등 마을 곳곳에 다양한 나무들을 심어 녹지공간을 늘려나갈 계획이며, 마을 길을 정비하는 작업도 한창 진행중이다. 정보제공행정안전부
- 조회수11,690
- 공유수0
- 댓글수0
[양주] 삼하리 전원일기마을
-
깊고 넓은 서해의 신비를 간직한 아름다운 섬 인천항에서 75Km 떨어진 바다에 위치하고 있는 덕적도. 덕적도의 본래 이름은 ‘덕물도’였으나 이곳에 사는 주민들이 어질고 덕이 많다 하여 덕적도로 칭하게 되었고 면의 명칭도 ‘덕적면’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덕적군도에서 가장 큰 섬으로 가장 높은 곳은 국수봉(314m)이다. 섬의 대부분은 산세가 가파른 임야이기 때문에 농경지는 전체 면적의 10% 정도에 불과하지만 갯벌이 발달되어 있어 바지락과 굴이 풍부하고, 산더덕, 흑염소, 포도, 칡엿, 표고버섯 등 지역 특산물들이 많이 생산되고 있다. 깨끗한 해수욕장과 자갈해변 등의 볼거리도 있어 여행객들이 많이 찾는 곳이기도 하다. 특히 덕적도 서쪽에 위치한 서포리는 넓은 모래사장이 있는 해수욕장으로 유명하다. 주위에는 노송이 울창하고 해당화 등이 무성하게 피어나며 기엄괴석이 장관을 이루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는 곳이다. 감투 모양으로 생긴 ‘마투 바위’와 장사들이 돌을 날라다 선녀와 신선들의 놀이터를 만들었다는 ‘장사 신선 바위’가 있어 더욱 유명하다. 현재 덕적도에는 ‘나그네 덕적도 섬 조성사업’이 한창이다. 각종 여행 관련 서적에 단골로 등장하는 아름다운 길인 국수봉과 비조봉, 서포리해수욕장과 밧지름해수욕장에 해송 숲길이 조성되어 있고 능동자갈마당, 서해 도서 최대의 갈대습지 등 천연자원을 기반으로 해안탐방로가 만들어져 나그네들이 찾아와 머물다 가고 싶은 섬으로 다시 태어나고 있다. 정보제공옹진군청, 행정안전부
- 조회수13,341
- 공유수1
- 댓글수0
[옹진] 덕적도
-